본문 바로가기
교육

[자율주제탐구] 학교폭력의 심리학

by CW_2020 2025. 6. 13.
반응형
SMALL

학교폭력의 심리학

1. 서론

학교폭력이라는 커다란 불길은 좀처럼 사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SNS(Social Network Service)에는 전국 각지에서 학교폭력으로 인해 일어난 비극적 사건들이 게시되고 공유된다. 뉴스에서도 학교폭력으로 인해 자살한 학생들의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보인다. ‘학생이 저질렀다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대담하고, 잔인한 범죄행각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제 학교폭력은 비단 교육자들뿐 아니라 범국민적인 관심을 받을만한 문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2. 본론

1. 청소년 범죄는 왜 발생하는가?

왜 청소년기에는 이러한 집단 따돌림과 같은 문제가 빈번히 일어나는 것일까? 청소년 범죄의 발생 이유는 대표적으로 생물학적 관점과 정신분석학적 관점 두 가지로 나뉜다. 생물학적 관점에서 청소년 범죄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라는 남성호르몬으로 설명된다. 테스토스테론은 청소년기부터 내분기계에서 분비되는 성호르몬으로, 심리학에서는 공격성을 가지게 하는 호르몬으로 통용된다. 실제 테스토스테론을 주사한 쥐와 그렇지 않은 지의 공격성을 검사해 보았을 때, 테스토스테론을 조사한 쥐가 훨씬 높은 공격성을 나타냈다. , 청소년기에는 테스토스테론이 활발히 분비되기 때문에 청소년 범죄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테스토스테론이 남성 호르몬이라고 해서 남성에서만 분비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 혈중 농도가 남자 0.64μg/dL, 여자 0.034μg/dL로 다를 뿐이다.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청소년 범죄는 불안한 자아로 설명된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사람의 정신을 초자아(superego), 자아(ego), 이드(id)로 나눈다. 초자아는 양심, 이상과 상관이 있으며, 이드는 본능, 쾌감과 상관이 있다. 자아는 초자아와 이드가 적절히 융합되어 나타날 수 있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청소년기에는 중재자인 자아가 완벽히 형성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완전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자아가 적절히 작동하지 못할 때, 파괴적인 에너지인 이드가 표출되면서 청소년 범죄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2. 학교폭력의 이해

학교폭력은 여러가지 심리학적 원리를 수반한다. 먼저 학교폭력 가해자의 폭력 강도가 점점 더 세지는 것을 문간에 발 들여놓기 효과(foot in the door effect)’로 설명할 수 있다. 문간의 발 들여놓기 효과는 작은 부탁을 들어주면 나중에 더 큰 부탁을 들어줄 가능성이 높다는 경향을 말하는 것으로, 원래는 협상의 심리학과 관련이 있지만, 학교폭력의 경우에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학교폭력은 처음에는 단순하고, 작은 폭력으로부터 시작해서 나중에는 집단 구타, 성고문 등 심각한 형태의 폭력으로 진화되는 형태가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에는 신경학의 역치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도 있다. 강도가 비슷한 자극을 여러번 주면 역치값이 올라가 나중에는 더 큰 자극을 필요로 한다는 개념인데, 이 개념은 가해자에게 적용할 수 있다. 가해자가 비슷한 강도의 폭력을 피해자에게 지속적으로 행사하게 되면 죄책감의 역치값이 높아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결국 점점 강한 폭력을 행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폭력의 강도가 높아지면 피해자는 한번쯤은 도움을 요청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 무시된다. 대부분의 학교폭력 피해자들이 도움을 요청하는 곳은 담임선생님이지만, 담임선생님들은 이를 여러가지 이유에서 무시하게 되거나, 적절하지 못한 대처로 넘어간다. 여기서 피해자는 무기력을 학습하게 된다. 마틴 셀리그만(Martin E. P. Seligman)이 제시한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은 아무리 노력해도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느끼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학습된 무기력이 무서운 점은 단지 무기력을 느낀다는 점이 아니다. 무기력이 학습된 이는 나중에 그 상황을 탈출 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회가 생겼을 때도, 그것으로부터 탈출할 생각조차 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 무서운 점이다. 이는 피해자가 나중에 학교폭력으로부터 탈출 할 기회가 생겼을 때도 그 기회를 잡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학교폭력에는 주동자와 피해자, 그리고 방관자가 존재한다. 방관자효과에 의해서 방관자가 많으면 많을수록, 어떠한 상황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책임감은 줄어들기 마련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 인터넷상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은 몰개인화에 의해 자기의식이나 책임감 등이 상실되고, 비전형적인 행동을 하기 때문에 더더욱 일어나기 쉬운 형태의 학교폭력이다. 학교폭력의 가해자가 되기는 너무나도 쉽기 때문에 어쩌면 우리는 학교폭력이라는 가해자의 피해자일지도 모르는 것이 사실이다.

3. 학교 폭력 예방 및 개선 방향 

그렇다면 지금 학교폭력의 예방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학생 생활기록부에 징계 사실 기록 의무화, 교내봉사에서 사회봉사로 강화 처분 등 한마디로 처벌 강화가 주된 예방책으로 실시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강한 처벌이 범죄 발생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주별 사형제도 실시 기간과 그 기간 동안의 살인 등의 강력범죄 발생률을 조사해본 결과, 사형제도가 실시된 기간이나 실시되지 않은 기간이나 비슷한 범죄 발생률을 보였고, 오히려 올라간 기간도 존재했다. , 처벌 강화는 좋은 해결책이 되지는 못할 것이다.

3. 결론

여러 가지 통신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학교폭력의 심각성은 대중에게 더욱 자주, 상당히 심각한 형태로 비추어지고 있고, 실제로 그렇다. 이제는 정부가 하루빨리 학교폭력의 진짜 원인을 파악하고, 그 근본을 해결할 예방책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심리학적인 분석과, 청소년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2025.06.13 - [교육] - [자율주제탐구] 사이코패스-심리학적 분석

 

[자율주제탐구] 사이코패스-심리학적 분석

사이코패스, 심리학적 분석사이코패스란 반사회적 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를 앓는 사람을 뜻한다. 도서『법정 및 범죄심리학 입문』에서는 사이코패스(psychopath)라는 용어는 심리적,

cheonan-skyedu.tistory.com

2025.06.13 - [교육] - [자율주제탐구] 범죄심리학 탐구보고서

 

[자율주제탐구] 범죄심리학 탐구보고서

범죄 심리학: 범죄자의 내면을 들여다보다1. 범죄 심리학이란 무엇인가?범죄 심리학은 범죄자의 범죄를 유발하는 성격, 배경, 환경적 요인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범죄 수사, 범죄 예방,

cheonan-skyedu.tistory.com

2025.04.10 - [교육] - 수능개념 한국사 손글씨 요약(마인드맵)

 

수능개념 한국사 손글씨 요약(마인드맵)

 

cheonan-skyedu.tistory.com

2025.03.31 - [독서] - <<1984>>(독서록) AI윤리와 프라이버시

 

<<1984>>(독서록) AI윤리와 프라이버시

​전체주의: 공동체, 국가, 이념을 개인보다 우위에 두고, 개인을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는 사상​1984는 저번에 리뷰했던 멋진신세계와 더불어 가장 유명한 디스토피안 픽션

cheonan-skyedu.tistory.com

 

728x90